망치형 패턴은 시초가를 지지하면서 물량을 확보한 역망치형 패턴보다는 세력의 개입강도가 약하다. 주가 횡보중이나 바닥권에서 망치형이 연속 출현한다면 상승 터닝 시점이 임박했다고 판단하고 음봉상태의 장중 저점에서 물량을 확보해야 한다. 만약 장대망치형이 탄생하였다면 저점에서 가담한 세력입장에선 장대양봉을 먹은거와 같아서 익일 이식매물을 걱정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당일 저점매수자 입장에서는 최상의 종목이 된다. 장대망치형을 잡아내기 위해서는 음봉시점에서 공략해야 어떤 패턴에서 잠대 망치형이 많은지를 밝혀간다.
지지 가격대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바로 관리자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지지 가격대는 5일선이 살아있다는 의미는 강한 세력의 개입을 뜻한다. 5일선 살아있는 종목이 5일선 깨지 않고 거래량이 급감한 상태에서 음봉이라면 익일 양봉을 기대할수 있는 좋은 패턴이 된다. 매매 전략은 전일 5일선 살아 있는 종목 중에 10종목만 선택해서 5일선 지지가격대만 파악하면 준비 완료이며 장중 5일 이평선 지지와 거래량만 확인하면 된다. 일봉상 지지 가격대를 따로 메모해두고는 1분봉을 열어서 지지점을 찾는다. 이때 가장 주의를 기울여야 할 수 있는 것은 전일대비 현재의 거래량이다. 만약 주가수준이 10시쯤 잠대망치형 대상종목을 고른다면 대상종목이 5일선 가격대에 접근하고 거래량이 급감한 종목이 될 것이다. 분분상 5일선지지 가격대에 매수세 유입이 확인되면 그 즉시 매수에 가담해야 한다. 음봉 공략에 있어서 절대 잊어서는 안될 확인 절차 2가지 『거래량 20%미만, 5일선지지』이다.
⑵20일선 지지음봉을 잡아라.
그렇다면 20일선 위에서 장대망치형 탄생 가능성이 높은 패턴을 찾으면 된다. 20일선 위 장대양봉은 양음양 패턴으로 진행 된다고 했는데 둘째날 음봉을 공략하게 되면 당일 장대 망치형이 아니더라도 셋째날 양봉을 먹을수 있을 것이다. 세력주인 만큼 거래없는 음봉이 탄생할 경우 세력의 재개입 가능성이 큰데다가 상하가로 인해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봉 밀집 패턴은 세력의 매집 패턴 (0) | 2007.04.27 |
---|---|
양봉을 잡아내는 방법 (0) | 2007.04.27 |
장대 양봉을 잡아내는 방법 (0) | 2007.04.27 |
주봉의 의미와 이용 (0) | 2007.04.27 |
장대 망치형 잡아내는 방법 (0) | 2007.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