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매수시점선택

다큰사람 2007. 4. 27. 19:54

매수시점 선택

관심종목 중에서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한다면 매수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1. 주가가 추세선을 벗어나 저항선을 상향 돌파할 때
- 파동이론상 저점을 높이는 두번째 파동이 있을 때

2.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뚫고 올라갈 때
- 이동평균선이 수렴된 상태에서 몸통이 긴 장대 양봉을 그릴 때
- 5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면 1차 매수,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면 추가매수

3. 바닥에서 대량거래를 나타낸 후 일정 기간이 지나 2차 거래량이 증가할 때

4. MACD와 스토캐스틱 지표가 매수 신호를 보낼 때

5. 외국인 포지션(외국인이 우리증시를 어떻게 보는가?)
- 5거래일 중 3일정도 천억정도 연속 샀다면 단기 상승장으로 본다.
- 5거래일 중 3일정도 천억을 연속해서 매도 한다면 단기 하락장으로 본다.
- 종목 중 외국인 보유비중 높은 것은 피한다.
- 외국인 보유비중이 전혀 없다가 3~5% 갑자기 늘어난 종목
- 주가가 하락하거나 횡보하는데 외국인이 계속 사는 종목(미분출 종목)

6. 고객예탁금 증가여부

7. 주가는 20일선을 기준으로 해서 붙었다 떨어졌다 한다.(그랜빌의 법칙)
- 급락중에 자대음봉이 나오면 바닥에 가까운 징조.
- 장대음봉 출현후 갭하락해서ㅓ 도지, 역망치, 망치, 양봉 캔들에서 지지가 될 때 종가 매수한다. 1차매수
- 하락중 3일정도 양봉 돌파후(안들어간다) 다음에 도지형 5일선 지지확인 2차 매수(초보에게는 여기가 1차 매수 구간)
20일선 골든크로스 예상되는 시점
(조건 : 주가가 20일선과 3% 이격 이내, 거래량이 어제보다 많아야 한다.)
20일선 눌림목 급소(20일선 위에서 음봉 다음에 짧은 도지형)3차 매수지점
20일선 위에서 갭상승 단봉 양봉 출현 4차 매수시점


매도시점 선택

다음과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매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보유종목 중에서 아래 요건 가운데 일부라도 해당 사항이 있으면
매도를 검토하고 매수는 보류합니다.

1. 주가가 추세선을 벗어나 지지선을 하향 돌파할 때
파동이론상 고점을 낮추는 두번째 파동이 있을 때

2.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위해서 아래로 뚫고 내려올 때
주가가 천정권에서 장대 음봉 또는 긴 수염을 달 때
5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면 1차 매도, 2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면 추가매도

3. 이격률이 120% 이상이거나 투자심리지표가 80% 이상일 때는 매도 검토

4. MACD와 스토캐스틱 지표가 매도 신호를 보낼 때

5. 매수한 이유가 잘못되었다고 판단될 때

6. 연일 대량거래는 매도시점
- 거래량이 연일 년중 최고량(top)이 거래되고, 인기가 집중해서 거래량 폭주로 동기호가에서
단일가 거래가 되면서 주가가 비교적 상승하지 못하는 장면이 오면 그 때는 높이 팔자는 매도물량 이 쌓이게 됩니다.
따라서 이때는 즉시 매도함이 유리합니다.

7. 전환사채의 대량거래시는 매도시점 일주일 이상 연일 대량거래로 거래가 폭주하면 전환사채의 대량거래는 단기 이식장면이라 생각해야 합니다. 이러한 때는 대개 전환촉진책으로 주식으로 교환시키기 위해서 주가를 올리는 수가 있습니다. 이때는 높은 가격에 전환주식 대주물량이 기다리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8. 호재가 있어도 주가가 무반응하면 매도시점
- 주가의 위치가 높으면 호재 속출로도 주가가 무반응 또는 역으로 하락합니다.
이는 높은 주가에 대량매도물이 대기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을 때는 매도시점이 됩니다.

9. 주가가 고위치에서 20일 이동평균선을 「데드크로스」(dead cross)하면 단기적인 매도시점이 된다.
- 주가가 고위치에서 60일 이동평균선이 150일 이동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돌파 「데드크로스」하면
이식시점이 됩니다. 실제로는 주가가 천정을 치고 한참 내려와서 「데드크로스」함으로써 주가가 높을 때보다 싼값으로 매도하는 결점이 있습니다.

10. 주가와 그 아래 있는 60일 이동평균선과 그 밑에 잇는 150일 이동평균선이 같은 거리로 배열되어 있을 때가 매도시점이 됩니다.

11. 하락장세가 확인되는 데도 상승하면 매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