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andoned baby in downtrend,상승기아형 |
★ |

|
대표적인 상승반전 형인 십자샛별형에서 십자(Doji) 전후에 갭이 생기는 경우 아주 명확한 반전신호라고 할 수 있는데 이 패턴이 바로 상승기아형입니다. 매우 희귀한 패턴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하락추세+ 2 1 0 |
Abandoned baby in uptrend, 하락기아형 |
★ |

|
대표적인 하락반전 형인 십자석별형에서 십자 전후에 갭이 생기는 경우 아주 명확한 반전신호라고 할 수 있는데 이 패턴이 바로 하락기아형입니다. 매우 희귀한 패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상승추세+ 2 1 0 |
Three Inside Up, 상승잉태확인형 |
★★★ |
|
빈번하게 나타나지만 강력하지는 않은 반전 신호의 대표적인 패턴인 하라미(일본 고어로 잉태라는 뜻임)형의 확인 형태로 강력한 반전신호라 할 수 있습니다. 즉 하라미는 기존의 추세가 급격하게 반전할 때보다는 기존 추세가 일단락된 후 향후 움직임을 모색하는 단계에서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해서 하라미 출현후 바로 직전하락 추세에서 상승반전하지 않고 조정양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하락추세에서 긴 음봉 다음에 짧은 양봉(음봉이어도 무방)이 직전 봉의 몸통 안에 출현하면 하라미 형을 완성하게 되고 그 다음날 직전 봉들의 고가를 뛰어넘는 강한 상승세를 나타내면(긴 양봉) 상승잉태 확인형이 되는 것입니다. 신뢰도가 매우 높으며 자주 나타납니다. |
하락추세+ 2 1 0 |
Three Inside down,하락잉태확인형 |
★★★ |

|
빈번하게 나타나지만 강력하지는 않은 반전 신호의 대표적인 패턴인 하라미(일본 고어로 잉태라는 뜻임)형의 확인 형태로 강력한 반전신호라 할 수 있습니다. 즉 하라미는 기존의 추세가 급격하게 반전할 때보다는 기존 추세가 일단락된 후 향후 움직임을 모색하는 단계에서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해서 하라미 출현후 바로 직전상승 추세에서 하락반전하지 않고 조정양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승추세에서 긴 양봉 다음에 짧은 음봉(음봉이어도 무방)이 직전 봉의 몸통 안에 출현하면 하라미 형을 완성하게 되고 그 다음날 직전 봉들의 저가를 하회하는 강한 하락세를 나타내면(긴 음봉) 하락잉태 확인형이 되는 것입니다. 신뢰도가 매우 높으며 자주 나타납니다. |
상승추세+ 2 1 0 |
Three outside up, 상승장악확인형 |
★★★ |

|
형태상으로 두번째 봉에 의해 첫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을 인걸핑이라고 하는데 하락추세 마지막에 나타나며 첫째봉이 음봉, 둘째봉이 양봉인 것을 상승장악형이라고 합니다. 첫번째 봉의 크기가 작고 두번째 봉의 크기가 클수록, 거래범위가 두번째 봉에 의해 완전히 감싸일수록 신뢰도는 증가한다 할 수 있습니다. 만일 두번째 봉에 대량거래가 수반되었다면 더욱 의미있다 할 수 있습니다. 이 상승 장악형이 형성된 후 셋째날 종가가 첫째날의 시가와 둘째날의 종가보다 상승하면 추세의 반전이 확인되는 상승장악 확인형이 되는 것입니다. 명확한 상승반전 신호이며 자주 발생하는 편입니다. |
하락추세+ 2 1 0 |
Three Outside Down,하락장악확인형 |
★★ |

|
형태상으로 두번째 봉에 의해 첫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을 인걸핑이라고 하는데 상승추세 마지막에 나타나며 첫째봉이 양봉, 둘째봉이 음봉인 것을 하락장악형이라고 합니다. 첫번째 봉의 크기가 작고 두번째 봉의 크기가 클수록, 거래범위가 두번째 봉에 의해 완전히 감싸일수록 신뢰도는 증가한다 할 수 있습니다. 만일 두번째 봉에 대량거래가 수반되었다면 더욱 의미있다 할 수 있습니다. 이 하락 장악형이 형성된 후 셋째날 종가가 첫째날의 시가와 둘째날의 종가보다 하락하면 추세의 반전이 확인되는 하락장악 확인형이 되는 것입니다. 명확한 하락반전 신호이며 자주 발생하는 편입니다. |
상승추세+ 2 1 0 |
Upside gap two crows in uptrend,까마귀형 |
★★ |

|
형태상으로 나뭇가지 위에 앉아 아래를 내려다보는 두마리의 까마귀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첫번째 캔들은 긴 양봉이며 두개의 짧은 음봉이 상승 갭을 두고 나타납니다. 이상적인 형태는 두번째 음봉이 세번째 음봉에 감싸이는 것입니다. 매우 드물게 나타나지만 상승추세 마지막에 나타났다면 명확한 하락예고 신호입니다. |
상승추세+ 2 1 0 |
Three white solider,적삼병 |
★★ |

|
이름이 의미하듯이 종가가 상승하는 양봉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패턴으로 대표적인 강세 예고 패턴입니다. 형태상으로는 윗그림자와 아래 그림자가 없거나 짧은 양봉 세 개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뜻합니다. 통상 각 양봉의 시가는 직전 봉의 몸통 안에 있어 세 개의 양봉이 맞물리면서 상승하는 모습을 시현합니다. 만일 두번째나 세번째 양봉이 길게 늘어나는 경우 즉 급상승하는 경우에는 과열국면에 진입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하락추세+ 2 1 0 |
Three Black crow,흑삼병 |
★★ |
|
이름이 의미하듯이 대표적인 약세 예고 패턴으로서 윗그림자와 아래 그림자가 없거나 짧은 음봉 세 개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뜻합니다. 통상 각 음봉의 시가는 직전 봉의 몸통 안에 있어 세 개의 음봉이 맞물리면서 하락하는 모습을 시현합니다. 특히 첫 음봉의 종가와 두번째 음봉의 시가가 같고 세번째 음봉의 시가가 두번째 음봉의 종가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동일 흑삼병이라고 하여 더욱 강한 매도신호로 간주하는데 이는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상승추세+ 2 1 0 |
Stalled Pattern, 지연형 |
★★ |

|
상승추세 초기나 도중에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세 개로 구성된 캔들 자체가 때론 상승추세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두개의 양봉이 발생한 다음 상승갭을 나타내며 작은 몸통을 가진 양봉이 생기면 이 패턴입니다. 마지막날 발생한 양봉은 이전날 두개의 양봉보다 몸통이 작다는 점이 중요한 점입니다. 이 작은 양봉은 기존 강세의 지연이나 쉬어감을 뜻하기 때문에 단기 매매를 하는 사람들은 이 패턴을 이익을 실현하는데 사용합니다 |
하락추세+ 2 1 0 |

Advance Block, 블락형 |
★★ |
 |
세개의 양봉이 연속되면서 상승세를 나타내지만 두번째나 세번째 양봉이 추세약화의 신호, 즉 몸통이 작아진다거나 윗그림자의 길이가 길어진다거나 하는 경우의 패턴으로 상승세가 걸림돌을 만나 약화되었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상승세는 좀 더 이어질 수 있지만 충분히 상승한 고가권의 경우 주의를 요한다는 경고의 신호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
상승추세+ 2 1 0 |
Upside gap Tasuki, 타스키갭형 |
★ |

|
상승추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상승 갭을 형성하면서 양봉이 나타나고 이 뒤를 이어 음봉이 발생하되 이 음봉의 시가는 직전 양봉의 거래범위에 있고 종가는 직전 양봉의 거래범위 아래에 형성될 때 이를 타스키 갭형이라 합니다. 이전에 발생했던 상승 갭을 마지막 음봉이 메우지 못하면 기존의 상승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고한다 (기준이 필요하지 않을까?) 할 수 있기에 마지막 음봉의 종가수준을 매수하는 시점으로 판단해도 무방하다 할 수 있습니다 |
상승추세+ 2 1 0 |
Downward gap Tasuki, 타스키갭형 |
★ |

|
하락추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하락 갭을 형성하면서 음봉이 나타나고 이 뒤를 이어 양봉이 발생하되 이 양봉의 시가는 직전 음봉의 거래범위에 있고 종가는 직전 음봉의 거래범위 위에 형성될 때 이를 타스키 갭형이라 합니다. 이전에 발생했던 하락갭을 마지막 양봉이 메우지 못하면 기존의 하락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고한다(기준이 필요하지 않을까?) 할 수 있기에 마지막 양봉의 종가수준을 공매도나 전매도를 하는 시점으로 판단해도 무방하다 할 수 있습니다 |
하락추세+ 2 1 0 |
Mat-hold, 매트형 |
★★ |
 |
형태상으로는 하락반전신호인 까마귀형과 흡사하지만(첨가해야하지 않을까?) 강세장에서 상승추세가 지속된다는 것을 예고하는 몇 안되는 상승지속형 패턴입니다. 우선 첫번째 캔들이 긴 양봉이며 두개의 짧은 음봉이 상승 갭을 두고 나타난다는 점은 동일하나 또 하나(둘이 될 수도 있음)의 음봉이 나타난다는 점이 다르며 세번째 음봉을 딛고 상승갭을 나타내면서 양봉이 이어지면 강력한 매수신호입니다. 이때 매수를 한다면 두번째 음봉의 고점이 Stop Loss 설정점이 되는 것입니다. 매우 드물게 나타나지만 신뢰도는 매우 높은 편입니다. |
4 3 2 1 0 |
(Bullish)Tri Star 상승 세십자별형 |
★★ |

|
상당기간동안 하락추세를 나타낸 후 삼일 모두 십자형으로 나타나고 둘째날 하락갭을 형성하거나 아래그림자와 윗 그림자가 겹치는 경우 마지막 날 상승하면 상승 세십자별형을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상당기간 지속된 하락추세가 첫번째 십자형이 나타남으로써 힘이 약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두번째 십자형이 갭과 함께 나타남으로써 하락추세의 힘이 소진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세번째 십자형이 상승반전의 모습으로 나타나기에 매우 희귀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강한 반전의 신호입니다. 거래량지표 및 추세지표 등과 같은 여타 기술적 지표들도 참조하여 기존의 추세가 약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봉의 모습이 굳이 십자형이 아니라 작은 몸통으로 3일 연속 같은 모양인 나타난다 하더라도 세십자형으로 같이 분석하기도 합니다
|
|
(Bearish)Tri Star 하락 세십자별형 |
★★ |

|
상당기간동안 상승추세를 나타낸 후 삼일 모두 십자형으로 나타나고 둘째날 상승갭을 형성하거나 윗 그림자와 아래 그림자가 겹치는 경우 마지막 날 하락하면 하락 세십자별형을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상당기간 지속된 상승추세가 첫번째 십자형이 나타남으로써 힘이 약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두번째 십자형이 갭과 함께 나타남으로써 상승추세의 힘이 소진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세번째 십자형이 하락반전의 모습으로 나타나기에 매우 희귀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강한 반전의 신호입니다. 거래량지표 및 추세지표 등과 같은 여타 기술적 지표들도 참조하여 기존의 추세가 약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봉의 모습이 굳이 십자형이 아니라 작은 몸통으로 3일 연속 같은 모양인 나타난다 하더라도 세십자형으로 같이 분석하기도 합니다
|
|
Unique Three River Bottom 희귀 삼천 바닥형 |
★★ |
|
형태상으로는 강한 상승반전신호인 샛별형이 이륙한 것처럼 보이나 다른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카다 삼법의 삼천에서 이름을 따왔듯이 바닥을 나타내 주는 일종의 상승반전신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속된 하락추세가 긴 음봉을 나타내게 되고 그 다음날 높게 시작을 했다 해도 하락 강도로 인해 신저점을 형성하게 되지만 하락강도가 상승시도에 밀려 긴 아래그림자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공방으로 인해 셋째날 낮게 시작하지만 양봉을 형성하여 반전가능성을 나타냅니다. 만일 4일째 되는날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반전신호가 확인된 것입니다. 거래량의 추세를 살피는 것도 반전신호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둘째날의 아래그림자가 길수록 상승반전의 가능성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희귀하지만 독특하면서도 명확한 상승반전 신호입니다. |
|
Identical Three Crows 동일흑삼병형 |
★★★ |
|
대표적인 약세 예고 패턴의 하나인 흑삼병(윗그림자와 아래 그림자가 없거나 짧은 음봉 세 개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의 특별한 형태이다. 흑삼병과의 차이점은 둘째와 셋째일의 시가가 각각 전일 종가 근처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갑작스런 대형악재의 출현등으로 매수세력이 전무하여 전일의 종가가 다음날 하락의 기준이 되면서 연일 하락이 이어지는 모습으로 매우 강도가 큰 하락신호라 할 수 있습니다.
|
|
Bullish Breakaway 상승 탈출형 |
★ |

|
하락추세에서 5일내지 6일에 걸쳐 나타나는 형태이며 급격한 매도로 인해 과매도국면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로 반전의 패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긴 음봉이후 하락갭을 시현하면서 2-3일에 걸쳐 흑삼병과 유사한 음봉들이 형성됩니다. 마지막날 양봉이 나타나면서 종가가 이전의 하락 갭 중간에 형성되게 됩니다. 이 양봉의 의미는 이전의 하락갭이 메워지지 않았음을 뜻하게 됩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반등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어 확인과정이 꼭 필요하게 됩니다. |
|
Bearish Breakaway 하락 탈출형 |
★ |
 |
상승추세에서 5일내지 6일에 걸쳐 나타나는 형태이며 급격한 상승세로 인해 과매수국면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로 반전의 패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긴 양봉이후 상승 갭을 시현하면서 2-3일에 걸쳐 적삼병과 유사한 양봉이 나타납니다. 마지막날 음봉이 나타나면서 종가가 이전의 상승 갭 중간에 형성되게 됩니다. 이 음봉의 의미는 이전의 상승 갭이 메워지지 않았음을 뜻하게 됩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반락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어 확인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탈출형의 하락반전신호 강도는 약하기 때문에 여타 기술적지표의 참조 또한 필요합니다 |
|
Two Crows 약세 까마귀형 |
★★ |

|
하락반전신호로 상승추세에서 긴 양봉 형성 후 둘째날 상승 갭을 나타내며 고점에 도달한 뒤 종가는 현저히 낮은 수준에서 마감되어 음봉을 형성하고 셋째날은 둘째날의 몸통 안에서 시가가 형성되고 종가는 첫째날의 몸통 안에서 마감하는 형태입니다. 형태상으로 까마귀형과 비슷하나 셋째날이 첫째날의 몸통안으로 들어옴에 따라 이틀만에 상승갭이 메워졌기에 상승세가 빠르게 소진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셋째날의 음봉이 길면 길수록 약세 반전의 신호가 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 천정을 나타내주는 먹구름형과도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
Three Stars in the South 남 삼성형 |
★ |

|
하락세가 서서히 마무리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강세 반전신호로 긴 아래그림자를 가진 긴 음봉을 형성한 뒤 둘째날 높게 시작하였으나 전날의 저점 위에서 종가를 형성하고 셋째날 음 마르보즈를 형성하거나 짧은 아래그림자를 가진 음봉이 전날의 거래범위에 감싸이는 형태이다. 긴 아래그림자를 가진 긴 음봉의 출현으로 매도세가 사라지고 그 다음날 연속적으로 저점이 높아지고 있어 더 이상의 하락은 없을 것을 나타내는 형태이기에 확인 과정이 필요하다 |
|
Concealing Baby Swallow 애기제비 감추기 형 |
★★★Bullish reversal pattern, No Confirmation |

|
두개의 음 마르보즈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내었으나 셋째날 낮게 출발했지만 전날의 몸통안까지 반등세가 이어져 긴 윗그림자를 나타내고 마지막날 높게 시작하여 셋째날을 완전히 감싸는 긴 음봉을 형성하는 형태입니다. 셋째날을 애기제비에 비유한 것입니다. 셋째날이 비록 음봉을 나타내었지만 시가보다 높게 거래되어 윗그림자를 형성하였다는 점이 하락추세가 반전하고 있다는 점을 시현해준다 하겠습니다.강한 반전의 신호이고 장기추세의 변곡점이 되기도 합니다. |
|
Stick Sandwich 막대 샌드위치형 |
★Bullish reversal pattern,Confirmation is suggested |
|
두개의 음봉 사이에 하나의 양봉이 끼어있는 간단한 형태이나 상승반전 신호입니다. 두 음봉의 종가는 비슷한 수준이어야 하는데 이 가격대는 지지가격대로 참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양봉에서 기존의 하락추세가 반전되었음을 나타내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셋째날의 거래량 추이를 살펴보는 것도 신호확인을 위해 필요합니다. |
|
Bullish Kicking 상승 박차형 |
★ |

|
형태상으로는 지속패턴인 갈림길형과 유사하나 시가가 동일하다는 것 대신 어느정도의 gap이 발생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즉 음 마르보즈 뒤에 양 마르보즈가 상승갭을 두고 나타나는 것이 바로 상승박차형입니다. 이때 발생한 갭은 지지대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패턴전의 추세가 별로 중요하지 않을 뿐더러 일반적으로 두개의 마르보즈중 긴 쪽의 방향을 따라 향후 추세가 결정된다고 하나 그보다는 순서가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단기 반전신호입니다 |
|
Bearish Kicking 하락 박차형 |
★ |
|
형태상으로는 지속패턴인 갈림길형과 유사하나 시가가 동일하다는 것 대신 어느정도의 gap이 발생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즉 양 마르보즈 뒤에 음 마르보즈가 하락갭을 두고 나타나는 것이 바로 하락 박차형입니다. 이때 발생한 갭은 저항대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패턴전의 추세가 별로 중요하지 않을 뿐더러 일반적으로 두개의 마르보즈중 긴 쪽의 방향을 따라 향후 추세가 결정된다고 하나 그보다는 순서가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단기 반전신호입니다 |
|
Homing Pigeon 전서구형 |
★★★Bullish reversal pattern, Confirmation is suggested |

|
강세반전신호인 전서구형은 형태상으로는 약한 반전신호인 잉태형과 유사하나 두개 봉의 색이 음봉으로 동일하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하락추세후에 긴 음봉이 나타나고 다음날 높게 시작했으나 하루종일 전일 거래범위 내에서 거래가 이루어져 반전의 기미보다는 직전추세로 회귀하는듯한 모습을 보여 많은 시장참여자들로 하여금 시장에서 빠져나가는 기회로 삼도록 한다는 점에서 그 다음에 상승반전의 기초를 마련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역설적이지만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며 신뢰도도 높은 편입니다 |
|
Ladder Bottom 사다리 바닥형 |
★★Bullish reversal pattern, Confirmation is suggested |

|
강세반전신호입니다.하락추세가 3일 연속 지속되다가 4일째 되는 날 대부분의 거래가 시가 위에서 이루어졌다면 비록 그날 하락으로 마감한다고 하여도 하락추세가 마무리되어가고 있음을 감지하게 되고 그다음날 상승갭을 시현하면서 전일의 고점보다 높게 끝난다면 강세반전의 신호가 나타났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마지막날 장봉이 아니더라도 거래를 수반했다면 반전이 더욱 확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Matching Low 동일 저점형 |
★★Bullish reversal pattern, Confirmation is suggested |
|
강세반전신호인 막대기 샌드위치형의 개념과 비슷합니다.하락추세에서 긴 음봉을 형성한 후 다음날 높게 출발했지만 하락하여 전일 저점과 동일한 수준에서 마감을 하였다면 이 저점 수준으로 바닥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뜻하며 단기 반등이 임박했음을 나타냅니다. 음봉의 길이보다 동일 저점이 이틀에 걸쳐 형성되었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
|
Bullish Side-by-Side White Lines 상승 나란히 형 |
★★No Confirmation,지속형 |
|
두개의 길이가 비슷하고 시가가 비슷한 양봉이 직전 봉들과 상승갭을 두고 나타나는 것이 바로 상승 나란히 형입니다. 지속형 패턴으로 상승세가 잠시 숨을 고르는 모습입니다. 이때의 갭은 본격적인 하락추세에서 메꿔집니다. 봉의 길이보다는 갭을 형성한다는 점과 비슷한 시가를 나타낸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

Bearish Side-by-Side White Lines 하락 나란히 형 |
★Confirmation is recommended, 지속형 |
|
지속형 패턴이지만 매우 드물게 나타납니다. 하락추세에서 수익을 거둔 매도세력이 커버링하기 때문에 생기는 모습입니다만 상승시도가 호응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하락추세는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봉의 길이보다는 갭을 형성한다는 점과 비슷한 시가를 나타낸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
Rising Three Methods 상승 삼법형 |
★No Confirmation 지속형 |
|
상승추세 도중에 긴 양봉을 형성한 후 작은 몸통을 가진 음봉이 연속적으로 출현함으로써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하락전환을 예상하나 작은 몸통 연속 출현후 지금까지의 작은 몸통들을 모두 포함하는 양봉이 나타나면서 신고가를 형성하는 경우 추세가 지속된다는 신호입니다. 이는 장세가 장기하락한 뒤의 상승초기나 장기상승후 신고가가 형성될 때 장세의 지속여부를 회의하는 심리적 배경 때문에 생겨나게 되는 것입니다. 지속 여부에 중요한 것은 마지막 날의 양봉이 직전봉들을 감싸는 정도입니다. 변형된 형태들도 많습니다 |
|
Falling Three Methods 하락 삼법형 |
★No Confirmation |
|
하락추세 도중에 긴 음봉을 형성한 후 작은 몸통을 가진 양봉이 연속적으로 출현함으로써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하락전환을 예상하나 작은 몸통 연속 출현후 지금까지의 작은 몸통들을 모두 포함하는 음봉이 나타나면서 신저가를 형성하는 경우 추세가 지속된다는 신호입니다. 이는 장세가 장기상승한 뒤의 하락초기나 하락추세중 신저가가 발생될 때 장세의 지속여부를 회의하는 심리적 배경 때문에 생겨나게 되는 것입니다. 지속 여부에 중요한 것은 마지막 날의 음봉이 직전 봉들을 감싸는 정도입니다. 변형된 형태들도 많습니다 |
|
Bullish Separating Lines 상승 갈림길형 |
★Confirmation is required 지속형 |
|
상승추세에서 긴 음봉이 발생하면 예외적인 경우이기에 상승추세를 의심하게 됩니다만 다음날 전일 시가부근에서 출발하여 긴 양봉이 형성되면 새롭게 상승추세가 시작된다는 의미이기에 상승추세는 이어진다는 신호를 나타내게 되는 것입니다. 연속된 두봉의 시가가 같고 서로 반대의 색을 갖는다는 데서는 접선형과 같으나 색의 순서는 반대입니다. 두개의 긴 봉의 길이가 어느정도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은 특별히 없습니다 |
|
Bearish Separating Lines(Dividing Lines) |
★Confirmation is required, 지속형 |
|
하락추세에서 긴 양봉이 발생하면 예외적인 경우이기에 하락추세를 의심하게 됩니다만 다음날 전일 시가부근에서 출발하여 긴 음봉이 형성되면 새롭게 하락추세가 시작된다는 의미이기에 하락추세는 이어진다는 신호를 나타내게 되는 것입니다. 연속된 두 봉의 시가가 같고 서로 반대의 색을 갖는다는 데서는 접선형과 같으나 색의 순서는 반대입니다. 두개의 긴 봉의 길이가 어느정도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은 특별히 없습니다 |
|
Bullish Three-Line Strike 강세 삼선 반격형 |
★★Confirmation is definitely required |
|
상승추세 중에 갑작스런 매물소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넷째날의 긴 음봉은 시가가 직전 양봉보다 고가에서 형성되고 종가는 3개 양봉의 저점아래에서 마감될 때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현물시장에서는 신용만기 매물이나 이익을 실현한 이식매물 때문이며 선물시장의 경우는 청산거래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매물소화과정으로 인해 강세가 지속되는 것입니다. 물론 마지막날의 거래량 등 확인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이패턴 속의 적삼병형은 의미가 퇴색되기에 바보적삼병형이라고도 합니다 |
|
Bearish Three-Line Strike(Fooling Three Crow) |
★Confirmation is definitely required |
|
하락추세 중에 연속급락에 따른 반발매수로 일시적인 상승 현상으로 넷째날의 긴 양봉은 시가가 신저가를 형성하나 종가는 3개 음봉의 고점 위에서 마감될 때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현물시장에서는 반발매수나 반등시도 때문이며 선물시장의 경우는 환매수에 기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단기반등으로 인해 강세반전의 기세가 소진되고 하락추세가 지속되는 것입니다. 마지막날의 거래량을 체크하는 등 확인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이 패턴 속의 흑삼병은 의미가 퇴색되기에 바보흑삼병형이라고도 합니다 |
|
Upside Gap Three Methods 상승 갭 삼법형 |
★★Confirmation is suggested |
|
상승갭 타스키형와 유사한 형태이나 마지막 봉이 앞에서 형성된 갭을 메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강한 상승추세에서 잘나타나는데 두개의 긴 양봉과 상승 갭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 둘째 양봉은 반드시 갭을 형성하여야 하며 셋째날의 음봉은 반드시 갭을 메워야 합니다. 통산적으로 이러한 갭메우기는 추세강화의 한형태로 간주되기에 기존 추세는 이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
Downside Gap Three Methods 하락 갭 삼법형 |
★★Confirmation is suggested |
|
하락갭 타스키형와 유사한 형태이나 마지막 봉이 앞에서 형성된 갭을 메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강한 하락추세에서 잘나타나는데 두개의 긴 음봉과 하락 갭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 둘째 음봉은 반드시 갭을 형성하여야 하며 셋째날의 양봉은 반드시 갭을 메워야 합니다. 통산적으로 이러한 갭메우기는 추세강화의 한형태로 간주되기에 기존 추세는 이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
On Neck 걸침형 |
★약세 지속형, Confirmation is suggested |
|
진화되지 않은 돌파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주로 긴 음봉과 함께 하락추세에서 나타나며 둘째날도 시가에 하락갭을 형성하지만 반전하여 상승세를 나타냅니다.그러나 종가는 전일의 저점을 넘지못하여 상승시도가 매우 미약함을 드러내게 됩니다. 따라서 하락추세가 이어지게 됩니다. 둘째날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이 통례이며 이는 기존추세가 지속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뜻합니다. |
|
In Neck 진입형 |
★약세 지속형, Confirmation is suggested |
|
진화되지 않은 돌파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주로 긴 음봉과 함께 하락추세에서 나타나며 둘째날도 시가에 하락갭을 형성하지만 반전하여 상승세를 나타냅니다.그러나 종가는 전일의 저점과 유사한 수준에서 형성되나 전일의 음봉 안으로까지 상승하지는 못하여 상승시도가 부족함을 드러내게 됩니다. 따라서 하락추세가 이어지게 됩니다. 물론 하락세도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둘째날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이 통례이며 이는 기존 하락추세가 지속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뜻합니다. |
|
Thrusting Line |
★Bearish continuation pattern, Confirmation is requested |
|
진화되지 않은 돌파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주로 긴 음봉과 함께 하락추세에서 나타나며 둘째날도 시가에 하락갭을 형성하지만a 반전하여 상승세를 나타냅니다. 종가가 전일의 저점을 돌파하였으나 전일 음봉의 50%선 즉 Midpoint를 넘지 상승여력이 부족함을 드러내게 됩니다. 상승시도에 실패하게 됨에 따라 하락추세가 이어지게 됩니다. 그렇지만 매도세에 가담하기 위해서는 그 다음날의 추이를 살피는 확인과정이 필요합니다. 둘째날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이 통례이며 이는 기존 하락추세가 지속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뜻합니다. |
|
|